"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조건부터 정부지원금 및 금리까지 총 정리해드립니다"
(FEAT. NH농협은행, 신한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, IBK기업은행, KB국민은행 외 지방은행)
안녕하세요. 티핑포인터 입니다.
최대 5천만원까지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고 계신가요?
오늘은 시중은행부터 지방은행까지 청년도약계좌의 신청방법과 조건부터 금리까지 총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청년도약계좌란?
최초에는 (내가 내는 돈)+(정부 지원금)을 합쳐 매월 최대 70만원씩 3.5%금리로 저축하면 10년 후에 1억원을 받을 수 있는 정부의 통 큰 제안이었습니다.
그러나 저축기간이 10년에서 5년으로 줄면서 5년간 최대 5천만원까지 받을 수 있게 변경되었습니다.
▶ 최초 : 10년간 70만원 저축시 총 1억원 지급
▶ 변경 : 5년간 70만원 저축시 총 최대 5천만원 지급 [기본금리 4.5% ~ 우대금리 6%, 정부지원금 매월 최대 2.4만원]
최대 5천만원 지급에는 총급여의 수준의 기준이 있습니다. 해당 내용은 아래 자격조건에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방법
1. 청년도약계좌의 신청기간은 2023년 06월 15일 부터 2025년 12월 31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.
2. 각 은행 별 앱 또는 직접 은행 내방하여 신청 가능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지원자격
1. 총급여 수준이 2,400만원부터 7,500만원 이하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. (종합소득 기준은 1,600만원부터 6,300만원 이하까지 입니다.)
2. 1번 항목과 더불어 가구 중위소득의 180% 이내 이어야 합니다.
구 분 | 1인 가구 | 2인 가구 | 3인 가구 | 4인 가구 | 5인 가구 | 6인 가구 |
23년 중위소득 | 2,077,892 | 3,456,155 | 4,434,816 | 5,409,640 | 6,336,880 | 7,227,981 |
23년 중위소득의 180% | 3,740,206 | 6,221,079 | 7,982,669 | 9,737,352 | 11,406,384 | 13,010,366 |
→ 급여 수준에 따라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기여금이 상이합니다. 해당 내용은 아래 지원금액 확인바랍니다.
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 금액
아래 표와 같이 급여수준에 따라 정부에서 지원 받을 수 있는 최대 기여금이 정해져있습니다.
예를 들어, 2,400만원 이하의 수준의 급여라면 한달에 40만원만 저축하더라도 정부 최대 기여금인 월에 2.4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.
그러나 6,000만원 이상 7,500만원 이하의 급여 수준이라면 정부 기여금은 받을 수 없지만, 이자에 따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일반 적금의 일반 과세(15.4%)를 차감하지 않아 신청하셔도 좋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총급여 | 종합소득 | 기여금 최대수령 납입액 |
정부 최대 기여금 | 비과세 여부 |
비고 |
2,400만원 이하 | 1,600만원 이하 | 40만원 | 2.4만원 | O | |
3,600만원 이하 | 2,600만원 이하 | 50만원 | 2.3만원 | O | |
4,800만원 이하 | 3,600만원 이하 | 60만원 | 2.2만원 | O | |
6,000만원 이하 | 4,800만원 이하 | 70만원 | 2.1만원 | O | |
7,500만원 이하 | 6,300만원 이하 | 없음 | 없음 | O |
청년도약계좌 금리
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,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최대 6% 입니다.
아래 표와 같이 시중은행(NH농협/신한/우리/하나/IBK기업/KB국민)은 기본금리는 4.5%로 모두 다 통일되었습니다.
그러나 우대금리는 은행 별 충족 항목이 상이합니다.
- 카드 실적 유무
- 해당 은행 적금 유무
- 급여 이체
- 총 급여 2,400만원 이하 해당자
위 4가지는 우리은행의 예시 이며, 은행 별 우대금리 조건은 상이합니다.
또한, 시중은행을 제외한 지방은행의 경우는 기본금리가 4.0%이지만, 우대금리가 시중은행보다 높으며 조건 또한 위 예시와 유사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주의사항
- 중도해지 시에는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은 모두 부여되지 않습니다. (특별중도해지 사유일 시 제외)
- 5년간 70만원 저축이 부담스럽다면, 위 소제목("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 금액")의 표에 해당되는 기여금 최대수령 월 납입금액만큼만 납입하시는게 좋습니다.
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의 신청방법부터 지원자격/정부지원금액/금리./주의사항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.